애드센스 1000달러 파이프라인
외세의 침략에 끊임없이 저항하여 독립을 이룬 체첸인 본문
체첸인은 선사시대부터 코카서스 북부의 고지대에 살았던 나흐족 중 하나입니다. 나흐족은 코카서스 지역에서 후리안-우라르시아 부족의 문화발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습니다. 미노아와 에트루리아는 체첸과 관련이 있고, 에투루리아는 바로 나흐족과 관련이 깊습니다. 체첸인과 잉구쉬의 조상은 두르드주크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지아 연대기를 보면 타르가모스 사후 아들들이 나라를 나누어 통치하였고, 가장 믿을만한 카브카소스는 중부 코카서스를 지배하여 통치하였습니다. 그는 체첸 부족을 낳았고, 기원전 4세기경 그의 후손인 두르드주크가 산악지대에 강력한 국가를 세웠습니다. 그루지야 역사가인 멜리키쉬빌리는 코카서스 남부 지역에서도 나흐족이 생활하였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외부의 침략이 빈번해지기 전에 나흐족은 코카서스 중부지역과 북동쪽 지역의 대초원, 그리고 동쪽으로는 카스피해에 걸쳐서 살고 있었습니다. 기원전 9세기 이후 우라르투 왕국에 의해 생활반경은 코카서스 북쪽까지 확장되었습니다. 기원전 4세기부터 두르주케티에 의해 강력한 국가가 세워졌습니다. 중세시대에 체첸은 그루지야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래서 일부 부족은 동방정교회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하였습니다. 7세기에는 기독교 외에 이슬람 종교가 퍼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이슬람 신도의 대부분은 수니파 이슬람교도입니다. 신도 수가 많지는 않지만, 소수의 기독교인과 무신론자들도 있습니다. 체첸인이 무슬림 급진주의자라는 고정관념은 잘못된 것입니다. 2000년대 후반 무슬림은 2개의 조직으로 나누어집니다. 무장한 체첸 분리주의의 급진적인 활동은 살라피스가 주도하였습니다. 그들은 범이슬람주의를 기반으로 민족을 포기하고 다른 이슬람 국가들과 코카서스 에미리트를 조직하여 단체행동을 하였습니다. 다른 조직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람잔 카디로프의 주도하에 이슬람화 반대운동을 벌이고, 종교로서의 이슬람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습니다.
체첸 사회는 약 130개의 씨족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씨족연합체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민주적인 방식에 익숙하며, 평등, 다원주의 및 개성을 존중하는 문화적 기반을 만들었습니다. 이런 씨족공동체를 토대로 강한 민족의식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특히 자유의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자유를 제한하는 것에 매우 민감하였습니다. 그들은 자유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저항을 지속하였습니다. 체첸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코카서스의 프랑스인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들의 정치적, 역사적 특성 및 개개인의 성향들이 프랑스인들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프랑스에 프랑스 혁명이 있었던 것처럼 체첸에도 유사한 혁명이 있었습니다. 프랑스인들처럼 전제군주제 통치하에서도 평등주의 사회 구현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또한 점진적인 변화를 선호하는 키르기스인보다 프랑스처럼 신속하고 혁명적인 방법을 선호하였습니다.
13세기 몽골의 침략과 14세기 타머래인의 침략으로 영토는 황폐해졌습니다. 체첸은 몽골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소수민족 중 하나입니다. 두 번에 걸친 외세의 침략으로 큰 대가를 치르면서 국가 제도를 정비하고, 군사 기반을 확충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코카서스 지역은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의 오랜 경쟁지역이었습니다. 16세기 이전 서부는 오스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동부는 페르시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는 않았습니다. 16세기 초 러시아가 영토확장을 위해 남하하면서 체첸인과 러시아인 간의 충돌이 빈번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결국 이 지역은 오스만, 페르시아, 러시아가 끊임없이 충돌하는 지역이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국가 의회를 새로 구성하고, 국가통치자를 새로 임명하였습니다. 1650년 이후 체첸은 알다만의 지도력 아래 강대국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국가를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페르시아 및 러시아의 침략에 맞서 현지 동맹을 맺고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갔습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러시아는 백인 전쟁을 통해 코카서스 북부지역을 본격적으로 정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전쟁은 체첸인을 극히 싫어하던 예르몰로프 장군이 주도하였습니다. 그는 잔인한 정책을 통해 나라를 초토화했으며, 많은 부족민을 추방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1818년에 이맘 샤밀의 주도로 러시아 통치에 대한 저항이 극에 달하면서 현재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에 성을 세웠습니다. 수십 년에 걸친 피비린내 나는 전쟁은 1861년 체첸의 패배로 끝이 났고, 체첸의 인구는 많이 줄었습니다. 그리고 전쟁으로 인한 난민의 대다수는 이민을 가거나 강제추방 당하였습니다. 이후 러시아 남북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중 체첸인들은 러시아 세력에 대해 수없이 저항하였습니다. 대부분은 민족차별 및 종교탄압에 저항하는 비폭력 저항운동이었습니다. 1944년 러시아의 지도자 스탈린은 다른 코카서스 민족들과 함께 체첸인들을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으로 추방하였습니다. 그들이 유지해오던 공동체 및 국가는 강제 폐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체첸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사망했으며, 그들의 전통문화와 민족공동체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1956년에야 영토를 회복했지만, 그들은 경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없었고, 시민권을 얻지 못했습니다. 1990년대 소련의 몰락 이후 체첸은 독립을 되찾기 위해 여러 번 시도하였습니다. 그들은 오랫동안 그루지야어, 아랍어 및 라틴어 알파벳을 사용해 왔습니다. 주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잉구쉬어나 조지아 인접 지역의 배츠비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현재까지도 많은 국민이 잉구쉬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나흐어족 계통의 체첸어입니다. 2008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러시아어 계열의 키릴문자를 사용합니다. 1989년에는 약 73%가 러시아어를 사용했지만 그 이후 러시아 교육기회 부족, 러시아어 학습거부 등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